이노그리드-펜타시큐리티, 첨단 클라우드보안 앞장선다!

이노그리드-펜타시큐리티, 첨단 클라우드보안 앞장선다!
 
사이버테러 4년만에 3배증가, 보안취약한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맞춤형 클라우드보안 제공
양사 2년간 기술협력을 바탕으로 첨단 인공지능(AI)기반 클라우드보안으로 보안시장 공략
펜타시큐리티와 함께 지능형 보안 및 IoT 보안등으로 클라우드보안 시장 인식 확산

올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된 민간기관 사이버테러 침해건수는 총 942건이 넘는다. 4년 만에 3배 가까이 증가한 것. 특히 민간기관에 대한 해킹 등 사이버테러 공격의 빈도가 증가해 3분기 전세계에서 발생한 디도스 공격이 총 4376건(아카마이 자료)에 달해 업계가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다. AWS, MS, IBM등은 클라우드 보안서비스를 개발해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으나 국내 클라우드 보안시장은 아직 초기 단계로 4차산업혁명과 함께 클라우드보안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로 업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기업 (주)이노그리드(대표이사 조호견, www.innogrid.com)는 IoT∙클라우드∙기업 정보보안 전문기업 펜타시큐리티시스템(주)(사장 이석우 www.pentasecurity.co.kr 이하 펜타시큐리티)와 함께 최근 랜섬웨어등 사이버테러 증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것을 함께 인식해 클라우드 웹방화벽 WAPPLES ON CLOUDIT 개발 및 공동사업 계약을 완료하고, 향후 정보보안의 경계를 허문 사물인터넷(IoT)분야에도 GPU클라우드(GPU Infinit Cloud Service, GICS)를 통한 지능형 보안서비스를 협력한다고 6일 밝혔다.

 
펜타_이노그리드_대표

이노그리드와 펜타시큐리티는 클라우드보안 전문성을 확보해 공공시장 및 보안에 취약한 중소벤처기업 지원에 나선다.
또한 GPU클라우드를 통한 AI기반 사물인터넷 (IoT ) 클라우드보안에도 협력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사진 좌측부터 펜타시큐리티시스템 이석우 사장, 이노그리드 조호견 대표이사>

펜타_이노그리드_단체

< 펜타시큐리티 이석우 사장 및 이노그리드 조호견 대표이사, 양사 임원들과 함께 기념촬영>

 

이노그리드와 펜타시큐리티의 공동사업은 단순 사업제휴가 아니라 지난2015년부터 양사의 R&D센터가 클라우드보안의 중요성에 인식을 함께해 서비스의 완성도를 높여 왔다. 많은 시간을 함께해온 만큼 이노그리드의 퍼블릭 & 프라이빗 클라우드서비스 ‘클라우드잇’(cloudit)에 펜타시큐리티의 웹방화벽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이 가상머신(VM) 생성부터 웹보안이 함께 제공되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클라우드보안 환경을 제공한다.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 속에 기업들이 클라우드로 전환하거나 클라우드보안을 부담 없이 도입할 수 있도록 투자 여력이 적은 중소벤처기업을 중심으로 클라우드보안서비스를 제공한다. ‘와플 온 클라우드잇’은 지속적으로 최신 보안기능을 실시간 업그레이드 받을 수 있어 보안 담당자가 없는 사각지대에 놓인 기업들의 불안감과 고민을 한번에 해결해 줄 수 있다. 또한 국산 클라우드의 강점인 기업형 맞춤형서비스와 보안컨설팅 제공으로 클라우드보안을 더욱 강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노그리드 조호견 대표이사는 “이노그리드의 클라우드서비스에 펜타시큐리티의 보안기능이 융합되어 클라우드 도입부터 보안영역까지 운영, 관리될 수 있는 보안 전문성이 확보되었다”며 “향후 4차산업혁명에 맞는 GPU기반 지능형 클라우드보안에도 앞장 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펜타시큐리티 대표이사 이석우 사장은 “이노그리드 클라우드와 협력으로 펜타시큐리티의 머신러닝을 이용한 보안 기능들이 더욱 강력해졌다.” 라며 “AI기반 클라우드보안 기술로 IoT 환경에서도 적용 가능한 APT 방어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노그리드는 최근 클라우드데이터센터(CDC) 확장 준비와 공공시장 진입을 위한 각종 보안인증 절차를 착실히 준비중에 있다. 이를 통해 국내 및 아태 시장점유율 1위 펜타시큐리티 웹방화벽과 국산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 ‘제로스택’(XERO)과 연계한 시장 다각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클라우드 보안시장 규모가 오는 2020년 90억달러(1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